워킹맘의 출산전휴 휴가관련
안녕하세요? 따야몬드st입니다.
오늘은 엄마의 출산전후 휴가와 급여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출산전후 휴가란?
임신한 여성근로자에게 90일의 출산전후 휴가를 부여합니다.
이때, 출산후 45일 이상이 확보되어야하며, 90일을 연속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다태아의 경우는??
120일의 출산전후 휴가를 부여를 부여하며 출산후 60일이상이 확보되어야합니다.
출산전후 휴가의 급여?
최초 60일(다태아 75일) | 마지막 30일(다태아 45일) | |
대기업 | 사업주가 통상임금을 지급 | 정부가 통상임금 지원 (최대 월 210만원) |
우선지원 대상기업 | 정부가 최대 월21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 통상임금에서 부족한 부분은 사업주가 지급 |
정부가 통상임금 지급 (최대 월210만원) |
중소기업 | 정부가 통상임금의 100%지원 | 정부가 통상임금 100%지원 |
우선지원 대상기업이란?
광업의 경우 300인이하, 제조업의 경우 500인이하, 건설업의 경우 300인이하, 운수*창고 및 통신업의 경우 300인 이하
기타 산업은 100인 이하 우선지원대상 기업에 해당합니다.
고용노동부 (Tel:1350) 에 전화하여 우선지원대상기업인지 확인해보세요.
급여 신청 방법 및 제출서류
신청인의 거주지나 사업장의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에 하기의 서류를 제출해야합니다.
-출산전후 휴가 급여 신청서
-출산전후 휴가 확인서 1부
-통상임금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 사본 1부
-휴가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자료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고용보험 홈페이지) 신청은 1회 차부터 신청가능합니다.
그러나 사업장에서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서를 제출하였을 경우에만 해당되며,
사업장에서 제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산휴가 사용자가 신청서류를 관할 고용센터에 제출해야합니다.
출산전후 휴가는 연차 유급휴가의 일수 산정시 포함되나? YES OR NO?
YES.
임신 중의 여성의 출산 전후 휴가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봅니다.
출산 전후 휴가를 받을 수 있는 조건?
휴가가 끝난 날 이전에 피보험 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휴가를 시작한 날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합니다.
*우선지원 대상기업이 아닌 곳에서 근무하는 워킹맘은 휴가 시작후 60일(다태아 75일)이 지난 날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합니다.
출산 후 워킹맘의 고충
워킹맘은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면서 다양한 고충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고충은 개인적, 직장적, 사회적 여러 차원에서 나타납니다. 워킹맘의 주된 고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일과 육아의 균형 잡기
가장 흔하고 큰 도전 중 하나는 일과 육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입니다. 많은 워킹맘들은 업무 시간 후에도 가정에서의 역할이 기다리고 있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2. 직장 내 유연성 부족
육아에 필요한 유연한 근무 환경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연 근무 시간, 원격 근무 옵션, 아이가 아플 때의 대처 방안 등이 제한적일 때 워킹맘은 큰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3. 경력 발전의 장애
육아 휴직 후 복귀하거나 육아를 이유로 단축 근무를 선택할 경우, 승진이 늦어지거나 경력 발전 기회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리천장은 많은 워킹맘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4. 직장에서의 편견
일부 동료나 상사는 육아를 하는 직원에 대해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편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워킹맘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며, 직장 내에서의 불필요한 압박을 증가시킵니다.
5. 자기관리 시간 부족
개인 시간이 부족하면 스트레스 관리, 건강 유지, 취미 생활 등 개인적인 부부이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워킹맘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 가족 및 사회적 압박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육아 방식에 대한 비판이나 조언을 받을 때, 이는 워킹맘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의 기대치는 워킹맘의 스트레스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7. 육아 지원 서비스의 접근성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찾는 것도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보육 서비스를 확보하지 못하면, 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충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장 내 유연성 증대, 직장과 사회 전반에서의 육아 지원 정책 강화, 그리고 가정 내에서의 역할 분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워킹맘들이 직장과 가정에서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울산 출산 지원금, 산후조리비 지원금, 산후 도우미 가격 (0) | 2024.01.24 |
---|---|
배우자의 출산 휴가 및 급여 (2) | 2024.01.23 |
24년 육아휴직 6+6 부모육아휴직제, 육아휴직급여 (2) | 2024.01.21 |
육아휴직 기간 분할 (0) | 2024.01.20 |
육아휴직급여 제도 및 신청 방법 (0) | 2024.01.20 |